Easy, 팁
“청년이면 공짜로 받는 돈이 있다고?” 2025년 국가가 주는 청년 혜택 간단 정리
psa09kss
2025. 6. 13. 08:00
반응형
청년 혜택이 생각보다 많잖아?

🧑🎓 청년의 기준은 몇 살까지일까?
복지정책에서 말하는 ‘청년’의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,
대부분 만 19세부터 34세까지를 기본으로 합니다.
일부 혜택은 만 39세 이하도 해당되며, 신청 당시의 나이 기준이 적용되니 확인이 필요합니다.
💰 1. 현금처럼 쓰는 '청년지원금'
▷ 청년내일저축계좌 (만 19~34세 이하)
- 월 10만 원 저축하면 3년간 최대 1,440만 원 지원
- 조건: 근로 또는 사업 중인 저소득 청년 (중위소득 100% 이하)
▷ 청년월세 특별지원 (만 19~34세 이하)
-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지원
- 기준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 거주자
▷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(만 18~34세 이하, 경기도 거주·재직)
- 연간 최대 120만 원 상당의 복지포인트 지급
- 경기청년복지몰에서 자기계발, 건강, 문화상품 구매 가능
🏠 2. 전월세·매매 시 활용 가능한 주거 혜택
▷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
- 보증금 최대 7천만 원까지 연 1.2~2.5% 저금리로 대출
- 조건: 무주택 청년, 소득 5천만 원 이하 등
▷ 청년 전세자금 보증 (HUG or SGI)
- 보증기관이 보증을 서줘서 대출이 쉬워지는 제도
- 전세계약 시 보증보험을 가입하면 안전성도 높아짐
▷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 대출 (신혼부부·청년)
- 최대 4억 원까지, 연 1.6~3.0% 저금리
- 조건: 무주택자, 생애 첫 주택 구매, 일정 소득 이하
🏦 3. 금리 혜택 & 자산 형성
▷ 청년도약계좌 (만 19~34세 이하)
- 월 70만 원까지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천만 원 수령 가능
- 정부 기여금 포함된 장기 자산 형성 상품
▷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
- 연 3.3% 이자 혜택 + 비과세
- 무주택 청년, 연소득 3천만 원 이하 대상
📱 혜택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사이트
- 청년정책종합포털 ‘청년정책 누리집’
👉 youth.go.kr - 마이홈포털 (주거지원 통합 플랫폼)
👉 myhome.go.kr - 복지로 (정부 복지제도 통합 안내)
👉 www.bokjiro.go.kr
✅ 요약
- 청년이라면 받을 수 있는 돈이 생각보다 많다!
- 현금성 혜택부터 주택 관련 대출·지원까지 다양
- 나이 요건과 소득 조건만 맞는다면 지금 당장 신청 가능!
몰라서 놓치면 너무 아까운 혜택, 이지양과 함께 꼭 챙겨서 받아보아요! ^ㅡ^
반응형